샴푸하는 법은 누구에게 배웠나 ?
참 식상한 ...질문이죠 ?
근데 ?
대답하기 참 힘든 .........질문
1+1 = 2 라는 수학 답 처럼 딱 대답이가능하면
좋으련만
현대사회 생활속에서 이루어지는 상식 습관들
목욕할 때 사용하는 세제류
주방에서 사용되는세제류
당연히 사용하고 당연히 존재하는 존재들
샴푸는 언제부터 사용되어 졌는가 ?
그리고
샴푸하는 정확한 방법은 누구에게 배웠는가 ?
샴푸는 언제 개발 되었는가 ?
네이버 검색에 의하면
6.25전쟁이후 미군부대에서 흘러 들어온 샴푸
등을 사용했다는 것을 시작으로
1967년 11월 락희화학 (LG의 전신)이 비누가
아닌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최초의 샴푸
크림샴푸 를 개발 생산 했다 라고한다
하지만 그리 판매가 되지 않았다는 것
한국은 예전 비녀를 이용한
미용 문화 스타일이 존재했다 (스타일보단
깔끔하게 올리는 정리정돈의 형태였다)
머리를 감는 것은 한달에 한번 정도
(비녀를 풀면 엄청난 머리길이 ~~~)
지금의 샴푸라는 상식에서 본다면
두피가 가려워 난리나고 . 냄새가 나는 것이
당연한 것이라고 상상해볼수있다
허나 냄새가 쩔고 .두피에 트러블이 생겼다
라는 역사적 문헌은 없으므로 씻는다 라는 것이
결코 상식이아니라는 것 쯤은 이해할수 있다
(머릿니 정도 )
2017년 현재
전쟁후 1953년 7월 육이오전쟁의 종결 (휴전상태)
그렇다
전쟁이 끝난뒤 64년이란 시간 이 흘렀다
고작 인류역사중 에 64년 이란다 (대략말이죠)
2017년 지금 전쟁후
64년 이란 시간이 흘렀는데 목욕을 할 때 샴푸를 한다
라는 상식 . 습관은
정말 보편적으로 우리가 지금 처럼 무의식
적으로 사용하게된건 ?
고작 수십년 30~40년 이란 아주 짧은 역사 밖에 없는데
현대인의 샴푸 습관 이라고 하는 것이 존재하는 지금
샴푸를 알게 된 것은 언제쯤 ?
여기서 의문 이 생긴다
샴푸가 개발 된 시기도 흥미진진 하다만
그것을 알게된 것은 언제 ?인가이다
일반 시민이 무언가를 안다는 것은 그땐
텔레비전의 광고 . 방송 이라는 것은
당연한이야기 이다만
샴푸가개발된 당시에는 일반가정에 텔레비전은 없었다
조사에해본것으론 티비 방영이 시작된 것은
1961년 10월 이다
당시 티비 초기모델 가격은 6만4천원
80키로 쌀한가마니 2500원이란 당시 경제상황에선
엄청난 가격의 물품이였다
#아침에머리감는다 라는 말을 기억하는가 ?
아침에일어나면 샴푸 하는 것 ?
매일 아침에 일어나면 무조건 반사신경으로 비누 로
머리를 감던시절 이 지나고
샴푸 라는 물질로 변환
1980년 중반 대 에 들어 바로 이 아침에 샴푸로 머리감는
유행이 어마무시하게 증가했다
이러한 여러 시점에서 다시 돌아보면
도대체 누가 어떻게 해서 샴푸하는방법을 가르치고
그것들이 퍼져 버렸는가 ?
라는 의문이 생긴다
#그 실천의 대상은 엄마 ?
샴푸를 개발한 회사는 샴푸하는 방법을 알리지 못하면
상품은 잘 팔리지 않을 뿐더러 대중화 되는 일도 불가능
거기서 생각해 낸 것이 바로 모델을 이용한
거품이 풍성한 샴푸 이미지 의 광고
아주 예쁜 모델이 기분좋게 거품을 엄청만들어 샴푸한다
그 자태가 바로 지금까지 이어지는 샴푸 하는 방법일 것이다
조숙한 아이들은 어른들의 흉내를 내서 실제로 따라하는
케이스 도 있었겠지만
대부분의 아이들은 부모가 씻는 방법 그대로
목욕 을 하게된다
몸을 씻을 때 아이혼자서 목욕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
누군가 어른과 함께 목욕을 하고있다 는것이다
#정확한 샴푸 가 아닌 ……엄마의 솜씨
그러므로
정확한 샴푸 라는 것이 아니라
엄마의 손에의해 샴푸 방법이 전수 되는것이다
샴푸라고 하는 물질이
두피를 씻는 물질인가 /
머리카락을 씻는 물질인가 /
그것도 모르는 채
엄마가 아이머리에 발라
벅벅 비벼주고 있는 것이 샴푸이다
샴푸를 처음 사용한 어른들 그 어른들이 어렸을 때 그때는
샴푸하는 습관이 없었으므로
매일 샴푸하는 것도 없었을 것이다
어린시절 기억 에 남은 것들을 지금 돌아보면
마을 할아버지 할머니 들이 머리에 샴푸를 발라
벅벅 비벼 빠는 장면을 눈으로 본적이 없었다
허나
지금의 샴푸 광고를 잘 관찰해보면
여성용 샴푸 는 모발속에 무언가를 물질을 넣어 보강하는 것이
대전제 이다
역시 샴푸는 머리카락을 씻는 물질인것이다
하지만
남자용 샴푸의 광고는 두피를 마구마구 씻는다
라고 설명하고 그런 행위를 보여준다
@남자용 샴푸 로부터 추측할수있는 것
왜 남성용 샴푸는 두피를 씻어라 ~~~라고
말하고 있는가 ?
분명히 그것은 탈모 . 대머리 . 를 걱정한다는 것 아닌가 ?
허나
어른이 되면 갑자기 대머리가 되는 것은 아니다
대머리에도 요인이 절대적으로 존재한다
그것의 답을 풀어보면 역시나 어렸을 때부터 매일 매일
계속적으로 해온 두피에 샴푸를 발라 박박 씻어버린 것이
요인중하나 이다
<여성은 머리카락이 길~~~~~~다
그러므로 샴푸 를 두피에 직접 바르고 박박 비비는 것보다
손에 덜어 거품을 만들어 머리카락에 발라 샴푸하는 경우가
훨씬 더 많다
<남성은 머리카락이 짧으니 직접세제가 두피에 묻기 쉽다
두피박박비빔 행위도 여성보다 모발이 짧으니 두피 마찰도
강하며 그것의 자극은 보다 더 많다
머리개기름 비듬 트러블 .무서운상식 그2
역시나 샴푸 는 머리카락을 씻는 것이 목적인것이다
라고 …
도리적으로 쉽게 이해할수 있는것이다
지금 도 마찬가지다
정확한 샴푸를 하는 방법을 알고있는 사람들이 정말 없다
미용사 머리카락 의 프로 라고 하는 사람들도
샴푸 의 정확한 방법은 전혀 인지 하지 못하고 있고
머리에 좋은 샴푸 에만 무한 관심을 보인다
대머리가 없어지면 ?
그것을 이용하여 판매가능한 상품들의 판매가 저조해지므로
아무리 그것이 정확하다 한들
굳이 말할 필요 .
가르칠 필요 . 가 없다 라고 생각하고
그리 행동하는 사람이 전반적이다
사실을 전달 . 인식 . 하는 분류 는 아주 극소수 일뿐
댓글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