환원제의 이온 결합 에 대해
파마에 이용되는
치오 글리콜산
시스테아민
이 두가지 환원제 에 대해
모발내에서
파마환원~~ 산화하기 전까지
그 사이에는 무엇이 어떻게 ?
작용하고 있는가 ?
파마메카니즘
환원 . 이온 . 산화
일단 말이다
환원제는 SS결합에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
환원제의 한쪽손 은 S에 달라붙어
믹스디설파이드를 만들지만
또 한쪽은 이온화한 그대로 의 상태
치오 는
KSS-CH2COO(-) 가되고
시스테아민은
KSS-CH2CH2NH3(+) 가된다
이 때 모발은 알카리측으로 기울어 있으므로
(-)가 많아진다
고로
치오 는 K(이온)에 달라붙기 힘든 상황
KSS-CH2COO(-) 달라붙지 않음 (-) K
상태가 되고
이렇게 되면 또다시 RSH(환원제)가
공격을 시작하여
파마 2식을 일으키기 쉬워진다
허나
시스테아민 의 대부분이
KSS-CH2CH2NH3(+)-붙음--(-)K
이런상황
이온화한 K(모발케라틴)이랑
이온결합해버린다 (위그림참조)
그러므로 시스테아민은 파마2식이
일어나기 힘들어진다
전혀2식이 없단 것은 아니지만
치오 에 비하면 2식발생이 현저히 적다
그러므로 치오의 경우 디치오를 넣으면
리버스액션을 일으키지만
시스테아민은 시스타민 (시스테아민의 RSSR)
을 넣어도
리버스 액션이 일어나지 않는다
리버스액션을 일으켜 이 믹스디설파이트를
컨트롤하는 것이 관건이다
파마의 세계는 ...
파마에의 의 한 모발 손상
파마의 결정
파마의 컨트롤
지금까지 아무런 생각없이 하던 파마가
이젠 그 속의 베일을 벗는다
댓글
댓글 쓰기